나스닥 괜찮은 걸까요?: 3월~4월의 나스닥, Manipulation 단계와 그 의미

741
안녕하세요. TradingView 가족 여러분.

저는 1분기 트레이딩을 마치며 여러 생각이 들었습니다만, 여러분들에게 정말로 큰 그림을 보는 것에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가지고 왔습니다.

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꼭 댓글과 팔로우 부탁드립니다.!


2025년 1분기를 마무리하며, NQ1! 의 향후 전망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.​


1. 축적 - 조정 - 전달 (Accumulation - Manipulation - Distribution)의 가격 전달 과정

이 과정은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와 거래 패턴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개념입니다.​

  • 축적(Accumulation): 스마트 머니(기관 투자자 등)가 주식을 매수하며 매집하는 단계입니다. 이 시기에는 거래량이 증가하지만, 가격 하락폭이 제한적입니다.​

  • 조정(Manipulation): 축적 후, 가격을 인위적으로 조정하여 일반 투자자들을 유인하는 단계입니다. 이 과정에서 가격이 급등하거나 급락하며, 투자자들의 감정을 자극합니다.​

  • 전달(Distribution): 조정 후, 스마트 머니가 보유 주식을 일반 투자자들에게 매도하며 이익을 실현하는 단계입니다. 이 시기에는 가격이 상승하거나 횡보하면서 거래량이 증가합니다.​


2. 나스닥의 월별 수익률과 OLHC란?

나스닥 지수의 월별 수익률을 분석하면, 특정 월에 주가의 움직임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. 특히, OLHC(Open, Low, High, Close) 가격 패턴은 가격의 변동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합니다.​

  • O (Open): 해당 기간의 시가​

  • L (Low): 해당 기간의 최저가​

  • H (High): 해당 기간의 최고가​

  • C (Close): 해당 기간의 종가​


특히, 'L' 값은 해당 기간의 최저가를 의미하며, 이는 시장의 매도 압력이 가장 강했던 지점을 나타냅니다. 이러한 최저가는 종종 'Manipulation' 단계와 일치하며, 스마트 머니가 일반 투자자들을 유인하기 위해 가격을 조정하는 구간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​

결론은 현재 차트에서 볼 수 있는 나스닥의 양상입니다.

올해 나스닥이 상승한다면,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칠 것으로 예상됩니다.

특히, 3월에서 4월 사이에 나타나는 최저가는 'Manipulation' 단계와 일치하며, 이는 시장의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​


여러분들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. 이전 제 분석 글은 나스닥의 하락을 정확히 예측했습니다.

현재 나스닥이 조정 단계에 놓였다고 판단하여 저는 매수 전략을 자주 세우고 있습니다.

올해 나스닥의 목표가는 Manipulation 단계에서 보여준 하락의 두 배 정도인 가격대를 우선적으로 목표하고 있습니다.
Nota
조정이 아직 안 끝났습니다. 이 아이디어는 폐기하고 최신 글을 참고해주세요.

Declinazione di responsabilità

Le informazioni ed i contenuti pubblicati non costituiscono in alcun modo una sollecitazione ad investire o ad operare nei mercati finanziari. Non sono inoltre fornite o supportate da TradingView. Maggiori dettagli nelle Condizioni d'uso.